-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얼마? 10년,20년,35년 마다 다르다. 국민연금계산 사이트나라지원금 2023. 8. 30. 22:51반응형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시작과 함께 노후준비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월 100만 원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이 1만 명을 넘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증가
1988년 시행된 국민연금은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아 외국에 비해 수급자의 가입기간이 짧고, 그로 인해 대부분의 수급자 연금액이 적었습니다.
그러나 2008년 3월,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납부해온 수급자가 처음으로 나타났고,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 3월 기준으로 6만1710명에 이르렀습니다.
이들의 평균 연금액은 약 77만 원이었고, 가장 많이 받는 수급자의 연금액은 130만8900원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월 1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은 2008년 108명에서 2009년 958명, 2010년 4547명으로 점차 증가하여 금년도에는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노후자금 60% 준비 가능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10년 이상 납부해야 60세 이후 노후에 매월 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20년 이상 꾸준히 납부하면 적정 노후 생활비의 60%는 준비할 수 있고, 30년 납부 시 80% 정도의 준비가 가능하다고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국민연금은 노후자금의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물가 반영한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납부기간이 길수록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월 20만 원씩 10년 납부 시 예상 연금월액은 현재가치로 23만 원,
20년 납부하면 44만 원, 30년 납부하면 65만 원 정도 됩니다.
이 예상금액은 현재가치 기준이며, 실제로 35년 후쯤 받게 되는 금액은 각각 81만 원, 140만 원, 190만 원 정도가 됩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첫 연금액 산정 시 과거에 납부한 금액을 당시 기준으로 재평가하여 반영하고, 이후 매년 물가상승률만큼 인상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년이라도 더 길게 납부하면, 오래 살수록 총 연금 수령액 차이는 점점 커지게 됩니다. 수익률로 따지면 연 6~12%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계산방법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https://www.nps.or.kr/jsppage/app/etc/simpleExpect.jsp
예상연금 간단계산
예상연금 관련 유의사항 ① 연금액 = 기본연금액 * 지급률 + 부양가족연금액 (기본연금액) {1.275*(A+B)*P18/P+...+1.2*(A+B)*P23/P}(1+0.05n/12) A-연금수급 전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의 평균액 B-가
www.nps.or.kr
연금 많이 받으려면? 납부기간 늘려야
당연하게도, 나중에 받을 연금액을 늘리려면 납부기간을 늘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우선, 매월 연금보험료를 성실히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예전에 받은 반환일시금이 있다면 이를 반납하고 납부기간을 복원시킬 수 있습니다. 소득이 없어 납부예외였던 기간이 있었다면, 이에 대한 추후납부도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연금수령 나이가 도달했지만 납부기간이 20년 미만이면 연금수령 시기를 늦추고 연금보험료를 더 낼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민연금은 노후를 위한 중요한 준비 수단이므로, 가능한 한 긴 기간 동안 꾸준히 납부하여 노후를 안정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준비는 당신의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투자일 것입니다.
관련 글
'나라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례보금자리론 조건, 신청방법 만기 정리 (0) 2023.08.31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대상은? (0) 2023.08.31 건강보험공단 너무 많이 쓴 의료비 환급 받는 방법 신청하기 (본인부담상한제) (0) 2023.08.30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및 조기수령은어디서? (0) 2023.08.29